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HIS News

“전세계 인간공학자들이 한국으로 모인다,, ‘IEA 2024 JEJU’ 조직위원회 출범식 개최”

제22회 세계인간공학연합 학술대회 (IEA 2024 Jeju)’의 성공적인 행사 개최를 기원하는 출범식이 개최되었습니다.

https://www.safety1st.news/news/articleView.html?idxno=4527&fbclid=IwAR232kz_bqoMkm6MxI22uuVgvDG93ioyn2sJOCBv80JQ8y_QwUMDqsr_jM4

해당 기사는 아래 링크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계 인간공학자들이 한국으로 모인다,, ‘IEA 2024 JEJU’ 조직위원회 출범식 개최 < 학계 동향 < 기업 및 학계 동향 < 기사본문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safety1st.news)

“이맛 모르고 車 샀다 후회”…제네시스도 BMW도 하만, ‘ASMR’ 일타강사 [왜몰랐을카]

하만코리아 카오디오 어쿠스틱 시스템 엔지니어링 팀 총괄인 문소연 이사의 인터뷰가 ‘매일경제’에 보도되었습니다.

해당 기사는 아래 링크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0766864

2023년 연구 보조원 모집 (실차 주행 환경의 멀미 평가 지표 및 모델 개발)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휴먼인터페이스시스템연구실에서 <실차 주행 환경의 멀미 평가 지표 및 모델 개발> 연구에 참여할 학부연구생을 모집합니다. 아래의 설명을 읽고 연구 참여에 관심 있으신 분은 his.dlpc@gmail.com 주소로 신청서와 간단한 이력서를 1쪽 내로 작성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 제목]: (현대자동차) 실차 주행 환경의 멀미 평가 지표 및 모델 개발
  • [연구 배경 및 목표]:
    • – 전기차의 주행 환경에서 운전/탑승자의 편안하고 만족감 높은 주행 경험을 위해서는 전기차의 주행 특성을 고려하여 멀미를 저감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함.
    • – 따라서 본 연구는 멀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적 및 인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실제 주행 환경에 적합한 멀미 평가 지표 및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 내용]:
    • – 실차 주행 환경에 적합한 멀미 평가 지표 및 설문 개발
    • – 멀미 평가를 위한 실차 주행 실험 프로토콜 도출
    • – 실험 데이터 기반의 멀미 평가 및 예측 모델 개발
  • [연구기간]: 2023.01.16~2023.12.31 (12개월)
  • [업무 내용]:
    • – 정기 회의 참여
    • – 연구 세미나 참여
    • – 연구 보조: 문헌 조사, 설문 문항 설계, 실험 설계,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등
  • [신청 자격]:
    • – 인간공학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
    • – 2023년 1월부터 8월까지 주 10시간(월 40시간)씩 8개월 연속 근무 가능한 자
  • [우대 사항]: 인간공학, 휴먼인터페이스디자인 등 인간공학 관련 과목 수강자 우대
  • [신청방법]
    • – Round1: 지원서 검토
      • 신청서 제출: https://forms.gle/s8S3swwTFgrxw8o96
      • 이력서 제출 (자유 양식): his.dlpc@gmail.com
      • 적용 기간: 2022/12/20 ~ 2023/01/12
      • 지원 자격을 갖춘 지원자에게 면접을 위한 연락 예정
    • – Round2: 면접

2023년 연구 보조원 모집 (공중통제장비 모의 SW 개발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휴먼인터페이스시스템연구실에서 <공중통제장비 모의 SW 개발 (UI/UX 분석 및 설계)> 연구에 참여할 학부연구생을 모집합니다. 아래의 설명을 읽고 연구 참여에 관심 있으신 분은 his.dlpc@gmail.com 주소로 신청서와 간단한 이력서를 1쪽 내로 작성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 제목]: (국방과학연구소) 공중통제장비 모의 SW 개발 (UI/UX 분석 및 설계)
  • [연구 배경 및 목표]:
    • – 무인 항공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인기의 활동 범위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여러 대의 무인기가 편대를 이루어 세부 임무들을 협업 수행하는 무인편대기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음. 이에 따라 유인기 조종사가 비행 임무 수행과 동시에 개별 및 편대 비행이 가능한 저피탐 무인편대기를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공중통제장비 UX/UI 설계가 중요함
    • – 본 연구는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중통제장비 모의 소프트웨어의 UX/UI를 분석, 설계 및 평가를 통해 유인기 조종사의 과업 수행도 향상 및 생존성 증진을 목적으로 함
  • [연구 내용]:
    • 사용 맥락 분석 및 과업 별 인터렉션 설계
    • 공중 통제 장비의 인터페이스 설계
  • [연구기간]: 2023.01.16~2023.10.13 (9개월)
  • [업무 내용]:
    • – 정기 회의 참여
    • – 연구 세미나 참여
  • [연구 보조]: 문헌 조사, 사용 맥락 분석, 프로토타입 설계, 실험 수행 보조 등
  • [신청 자격]:
    • – 인간공학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
    • – 2023년 1월부터 10월까지 주 10시간(월 40시간)씩 10개월 연속 근무 가능한 자
  • [우대 사항]: 인간공학, 휴먼인터페이스디자인 등 인간공학 관련 과목 수강자 우대
  •  [신청방법]
    • – Round1: 지원서 검토
      • 신청서 제출: https://forms.gle/s8S3swwTFgrxw8o96
      • 이력서 제출 (his.dlpc@gmail.com)
      • 적용 기간: 2022/12/20 ~ 2023/01/12
      • 지원 자격을 갖춘 지원자에게 면접을 위한 연락 예정
    • – Round2: 면접

문의: his.dlpc@gmail.com

그림 속 문자도 정확하게 인식…하나금융 AI 기술, 금융권 최초 GS인증 1등급 획득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AI-OCR(인공지능으로 문서와 이미지에서 문자를 추출하는 기술) 솔루션 ‘리딧(READIT) v3.0’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금융권 최초로 GS인증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26일 발표했다. GS인증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다.

‘리딧 v3.0’은 하나금융의 정보기술(IT) 전문 기업 하나금융티아이의 사내 독립 기업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이 개발한 AI-OCR 솔루션이다. 저화질의 팩스 또는 스캔 문서에 대해서도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다. 딥 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사용한 텍스트 인식 규칙의 자동 추론을 통해 △지속적인 인식률 향상 △탁월한 문서 분류 기능 제공 △문서 보정의 자율적인 진화도 가능하다고 하나금융 측은 설명했다.

‘리딧 v3.0’은 하나은행과 하나금융티아이 공인전자문서센터의 다양한 문서 분류 및 정보 인식 업무에 적용되고 있다. 하나손해보험의 자동차 계기판 주행거리 자동 인식에도 활용되는 등 그룹 내 관계사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하나금융은 AI-OCR 솔루션 도입 시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를 직접 제공 해야 하는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습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고, 이와 관련된 특허 4건도 출원했다.

이주환 하나금융융합기술원 원장은 “신기술을 활용한 자체 개발 솔루션을 적기에 출시해 그룹 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며 “우수한 솔루션을 확산해 AI 기술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 https://naver.me/5CpfcFEm

생방송 대한민국

윤명환 교수님께서 KTV 국민방송 생방송 대한민국에 출연하셨습니다.

내용: 우리나라 가전 제품의 세계적 위상과 의미, 향후 전망과 과제

생로병사의 비밀

윤명환 교수님께서 KBS1 생로병사의 비밀에 출연하셨습니다.

내용: 앉은 자세에 따라 몸에 가해지는 압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스마트TV 사용자 대상 연구 참여자 모집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휴먼인터페이스시스템 연구실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현재 “스마트 TV 사용자 경험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이에 스마트 TV 사용자 분들을 대상으로 에피소드 수집과 그룹 인터뷰에 참여해실 참가자 분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 모집 기간:  4월 20일 ~ 4월 24일* 모집 대상: – 스마트 TV 사용자 (삼성, LG, 안드로이드TV 등) – 스마트 TV,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기기로 OTT 서비스(넷플릭스, 왓챠, 쿠팡플레이 등)를 활발하게 시청하는 분

** 스마트 TV는 자체 어플리케이션 자체 내장된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와 정보를 내려받아 볼 수 있는 기기로, 삼성이나 LG, 여타 제조사에서 제작하는 TV기기들입니다. – SK누구, KT기가지니, LG U Plus 등 음성인식와 여러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TV 화면을 빌려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는 스마트TV가 아닌 셋톱박스입니다. – 일반 TV와 IPTV 사용자는 모집대상이 아니지만 스마트 TV와 IPTV를 모두 사용하는 분들은 모집대상입니다

* 신청해주신 분들이 사용하시는 스마트 TV 모델 등을 검토 후 참여 요청 확인 연락을 드릴 예정입니다 

* 참여 사례비: 에피소드 수집과 인터뷰 모두 참여시 22만원 + 목걸이형 핸드폰 거치대

* 수행 내용:
1) 에피소드 수집 (4월 27일 ~ 5월 7일) – 약 1주일 간 진행 – 하루 중 TV를 볼 때 본인의 핸드폰을 사용 해 리모콘을 사용하는 손과 TV 화면이 나오도록 영상 촬영과 관련 내용에 대한 간략한 문서 작성 후 제출 – 영상 촬영용 목걸이형 핸드폰 거치대 증정 – 보내주신 영상은 연구 이외의 목적과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에피소드 수집 이후 인터뷰 전 1주일 간 모아진 영상에 대한 내부 분석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인터뷰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2) 그룹 인터뷰 (5월 12일 ~ 5월 18일 중 하루) – 약 1.5~2시간 소요 예정 – 서울대학교에서 신청한 날짜에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그룹 인터뷰 진행 – 설문조사 및 에피소드 수집 이후 인터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들만 진행 예정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상황에 따라 필요 시 비대면 인터뷰 진행 가능 

* 수행 내용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안내 파일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ppt파일>
https://mysnu-my.sharepoint.com/:p:/g/personal/jetishie_seoul_ac_kr/EX6CQpyazrZAuvsziGePBRABMklSA9SWKBr4FrwP1M04lg?e=WY59TN


* 사례비 지급 관련 – 인터뷰 일에 현장에 오셔서 인터뷰를 마치신 후 사례비 지급 서류를 직접 작성해 주시면 연구 종료일(5월 18일) 이후 10일 내로 지급 예정


* 아래 링크에 접속하시어 참여신청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QFc8f6oqlDJXIcph26odGy6r2p_PATQW5G4qoH5y1psM9Mg/viewform

* 에피소드 수집 및 인터뷰 참여 관련 문의

– 연구실 전화: 02-885-1403

 – 윤별이 연구원: stardl@snu.ac.kr

항로표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 참여자 모집

안녕하세요,

저희 연구실에서는 현재 해양수산부와 항로표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항로표지 교육 운영 체제, 관련 진로, 자격증, 홍보 방안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분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 해양대학교 학생
– 항로표지 관련 자격증 응시생 및 준비생

설문에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docs.google.com/forms/d/1t59UwjSl6vY-M5Apl1VzJn1GZ2S-dVghv-O3QKx_eC4/edit

전기차 사운드 연구 실험 참여자 모집

안녕하십니까, 저는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휴먼인터페이스시스템 연구실 송예인 연구원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현재 현대자동차 사운드디자인리서치랩과 함께사용자 중심의 전기자동차 사운드에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8월 중 전기자동차 소유주 대상으로 실차주행평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실험 참여자를 모집하고있습니다.
전기차 사용자들의 새로운 청각적 경험 제공을 위한 차별화된 엔진음 디자인 개발에 도움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실험에 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연구과제명: 전기차 청각 경험 개발을 위한 평가 툴 및 디자인 씽킹 기술 개발
(연구책임: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윤명환 교수)
ㅇ실험목적: 실차 주행 평가 기반의 전기차 운전자의 청각 경험 조사
ㅇ모집대상: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운전자
– 운전면서 취득 1년 이상
– 운전기간 1년 이상
– 40대 이상 운전자
– 전기차 운전 경험 없음
ㅇ참여기간: 2020.08.03~2020.8.21 중 1일 선택
ㅇ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 2시간
ㅇ참여 사례비: 10만원 (예정)
ㅇ실험절차
– 실험준비: 선호 착좌 세팅, 전기차 기능 설명, 실험 참여 동의서, 기본 인적 사항, 기타 설문
– 연습주행: 전기차 운전환경 숙달, 가속페달/브레이크 감도 파악, 실험과업 연습
– 본 실험: ‘관악구청~강남순환로~관악구청’구간 직접 운전하며 자유롭게 느낌 묘사수행, 구간 주행 종료 후 정차하여 설문 평가
– 사후설문: 사운드 평가 설문, 기타 운전자 요구사항 또는 불만사항 의견

*위 사항은 연구실 홈페이지(https://hislabmanager.mycafe24.com/) ‘HIS NEWS’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 혹은 실험 내용 관련 질문이 있으신 분께서는 담당자에게 아래 내용과 함께 연락 부탁드립니다.

1. 본인 성명
2. 성별
3. 연락처(휴대폰 번호)
4. 나이
5. 소유 차량 및 소유 기간
6. 운전 빈도 (주 몇 회, 혹은 월 몇 회)
7. 실험 참여 불가 날짜

실험 참여를 지원하시면 7월 마지막주에 안되는 날짜 제외한 나머지 날짜 중 최종 일자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사례비는 실험일정 종료 후인 16일 이후에 일괄적으로 행정처리하여 지급될 예정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songbycamel@snu.ac.kr

『호모마키나: 기계와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 발간

윤명환 교수님께서 저자로 참여한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의 두 번째 학제간 연구 총서가 발간되었습니다.

관련 기사 내용: 인간과 로봇이 공생하는 호모마키나(Homo Machina) 시대, 과학기술의 변화가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술사회의 미래를 고찰했다. 특히, 학제간 융합연구의 결과물로 미래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http://munhaknews.com/?p=27419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디지털 시민 시장실’ 구축 자문

서울시의 세계 최초 ‘디지털 시민 시장실’ 구축 프로젝트에서 HIS 연구실 윤명환 교수님께서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성 관련 자문을 하셨습니다.

[기사: ‘서울시, 세계 최초 디지털 시민 시장실’]

http://www.ytn.co.kr/_ln/0115_201706201630233522

 

KOSEN 연구실 탐방

사람을 아는 재미, 지식을 얻는 기쁨 – 한민족 과학기술자 네트워크(KOSEN)에 게재된 HIS 연구실 탐방록입니다.

이예림 연구원의 유려한 글솜씨를 만끽하며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원문 주소: http://www.kosen21.org/about/webzineDetail.do?webzineSeq=WEBZINE_000000000003&cornerSeq=CORNER_0000000000021&quize=N

 

당신이 모델하우스를 웹에서 본다면, 웹 기반 모델하우스의 활용가능성

HCI Korea 2016 학회에서 김용민 학생이 발표한 “실제 모델하우스에 대한 웹 기반 모델하우스의 활용가능성” 논문이 디지털 투데이 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실제 모델하우스에 대한 웹 기반 모델하우스의 활용가능성 (김용민 외 6명, 2016)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92361

김용민_기사

해당 기사는 아래 링크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ditoday.com/articles/articles_view.html?idno=21153

[성대신문]인간을 향하기에 더욱 아름다운 학문, 인간공학

인간을 향하기에 더욱 아름다운 학문, 인간공학

성대신문 2015년 10월 12일자

 

원문은 http://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67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는 http://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66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성대신문기사1

2015.09.08 시사기획 창 – 한국 경제 미래, ‘추격’에서 ‘선도’로 1편 추격 경제 한국, 전·차(電·車)를 넘어서

2015.09.08 시사기획 창 – 한국 경제 미래, ‘추격’에서 ‘선도’로 1편 추격 경제 한국, 전·차(電·車)를 넘어서

2015년 9월 8일자 KBS 시사기획 창, 한국 경제 미래, ‘추격’에서 ‘선도’로 1편 – 추격 경제 한국, 전·차(電·車)를 넘어서 편에서 HIS연구실 윤명환 교수님과, 연구실 소속 문소연 박사과정의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오토저널 2015.02] 자동차 감성품질과 사용자 경험 – 조화의 구현 플랫폼

[오토저널 2015.02] 자동차 감성품질과 사용자 경험 – 조화의 구현 플랫폼

오토저널 제37권 제2호, 2015.2, 38-43 (6 pages)

자동차 감성품질과 사용자 경험

– 조화의 구현 플랫폼

Affective Quality and User Experience in Automotive Interier : A Harmonious Platform for Innovation
윤명환
 QuickView
 
 
자동차 UX(User Experience)의 형성과정
UX(User Experience)에 대하여 비전공자가 정확하게 개념을 잡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실제로 UX(필자는 이후 이를 하나의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는 현재까지도 하나의 학문 분야라고 하기 보다는 전공자들의 연구집단(Community)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중요한 사실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다양하고 본질적으로 융합적인 이 분야가 이제 새롭게 떠오르는 혁신의 플랫폼이 될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UX는 그 자체로서 독립적인 연구 분야이지만 또한 많은 업무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용분야(Practice)이기도 하다. UX에 대한 교육분야도 존재하고 일부 유럽의 연구자들은 UX의 표준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또한 많은 산업 및 시각 디자이너들은 UX가 미술대학 교육과정인 산업 디자인의 한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UX는 <설계 과학(Design Science)의 한 분야에 해당하는 실증적(Empirical) 연구 주제로서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적인 방법론 혹은 인지심리와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인공물(Artifact)과 사람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분석하고 구현하는 학문 또는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반응은 궁극적으로 그 사용자가 구매자가 되기 때문에 구매자의 반응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적 사용자 반응(미적인 반응, 행복, 좌절, 고통 같은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학교에 행복 연구소와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은 행복이라는 개념을 증진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반증도 된다)을 우리가 과연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하는 주제와는 상관없이 HCI 연구자들은 현실적인 필요에 의하여 UX의 모델을 발전시켜 왔다. 현실적인 견해라는 것은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고 이런 개선 활동이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만족에 중요하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중략)

 

 
자동차 UX, 진화를 위한 노력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바일에서 출발한 스마트 융합기술의 확산은 자동차 UX에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서로 분리 발전하여 왔던 미디어와 기술의융합적 흐름은 컨텐츠와 기술의 융합을 자동차에서도 촉진하고 있다. 자동차 UX를 둘러싼 파괴적인 흐름은 근시일내에 새로운 혁신 모형의 출현을 요구하고 있다. 스마트 시대의 자동차 UX의 개념적 모호성은 스마트카 UX의 혼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스마트 자동차를 규정하는 사용자 모델의 부재로 나타난다.
본 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래의 자동차 UX는 UX의 혁신을 통한 지배적인 플랫폼의 출현을 예상하고, 이를 사용자 측면에서 가능하게 하는 기술(Enabling Technology)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기술적인 관점보다는 인간의 관점, 개발자의 시각보다는 사용자의 관점, 이론과 논리의 관점보다는 인간의 반응을 이해하는 관점에서 자동차의 UX가 접근되어야 하고 이를 선도적으로 구현하는 플랫폼이 미래를 지배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은 http://www.dbpia.co.kr/Article/3576522 에서 다운받을 수 있 습니다.
 
 
 
 
[제 23회 다산기술상] 車 운전대에 햅틱 기술 첫 적용

[제 23회 다산기술상] 車 운전대에 햅틱 기술 첫 적용

대성전기(주)와 함께 연구했던 햅틱 컨트롤러 와 관련하여 대성전기(주) 공준호 상무님께서 제 23회 다산기술상 ‘기술상’을 수상하셨습니다.

루미노 햅틱 스티어링 휠과 콘솔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감성공학적 설계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관련 기사는 아래 링크로 대신합니다.

AA.9358839.1

관련 기사 보기

갤럭시 노트 엣지에 적용된 UX 연구

갤럭시 노트 엣지에 적용된 UX 연구

2013년에 삼성 디스플레이와 함께 진행된

flexible display에 관한 연구가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해당 제품은 삼성 전자에서 최근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 엣지로, 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에 대한 연구가 반영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기사를 참조해주세요.

기사 바로가기

Galaxy Note Edge CF Video 

2014년 사은회

2014년 5월 17일 토요일

학내 걷기(순환도로위주) – 식사(교내 BBQ cafe) – 연구실(39-338) 방문

 

참석 졸업생

양종서, 어홍준, 오진욱, 서영보, 김형섭, 김하나, 김제용, 박성환, 박근량, 송주봉, 반상우

연구실 홈페이지의 변천

홈페이지 리뉴얼을 하면서 과거 연구실 홈페이지의 자료들을 찾게 되어 간단하게 그 변천사를 보려고 합니다.

1.2002

연구실 초기 홈페이지입니다.
지금은 흔적이 없지만 MIT에 백업이 되어 있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Cap 2014-03-07 14-28-06-380

2.2002~2005(?)

당시 홈페이지는 전부 html로 구성되어 있고 게시판만 db연동이 되어 있습니다.

Cap 2014-03-07 14-09-03-872 Cap 2014-03-07 14-13-40-694Cap 2014-03-07 14-15-44-493Cap 2014-03-07 14-16-05-948

 

 

3.2006~2014 초반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파일들의 날짜를 기준으로 보면 2006년에 새로운 홈페이지가 문을 얼었네요.
상당수의 기능을 제로보드 기반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중간중간 마이너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었으며, 크롬, 사파리 등의 새로운 웹환경의 도입으로 레이아웃 등에 변화가 조금씩 있었습니다.
학내 서버변경 등의 이유로 새로운 홈페이지가 완성되면 기존 홈페이지는 사라질 예정입니다.(사진은 따로 백업했습니다.)

Cap 2014-03-07 14-19-08-866Cap 2014-03-07 14-19-35-009Cap 2014-03-07 14-20-11-710

 

4.2014~

지금 이 글이 쓰여지고 있는 홈페이지입니다.
요즘 홈페이지들이 많이 도입하고 있는 CMS 중 WordPress를 기반으로 구축중입니다.

Cap 2014-03-07 14-23-58-541

서울대학교 환경안전 교육 강의자료

서울대학교 환경안전 교육 강의 중 윤명환 교수님 인간공학 관련 자료입니다.

[download id=”1535″]

2014. 03. 03. 새학기 시작

2014년 새 학기가 시작했습니다.

신입생  한지윤 학생 입학 축하합니다.

이번 학기 교수님 수업은 Human Performance(Graduate), Human Interface Design(Undergraduate) 입니다.

2014. 02. 28. 류태범 교수님 세미나

주제 : 최근 연구 근황

일시 : 2014년 2월 28일 오후 4시 50분

장소 : 39동 327호

 

내용 :

무빙파트 조작감 과제 – 현대기아자동차

핸드제스쳐

연구실 홈페이지 개편중

제로보드 기반에서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변경중입니다.

ㅎㅎㅎㅎ